RULE: 보물창고/비례대표제 Q&A 썸네일형 리스트형 Q. 어느 나라들에서 비례대표제를 시행하고 있을까? A. 짠! 아래는 비례대표제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입니다. 국가 선거제도 가이아나 정당 명부식 그리스 정당 명부식 기니비사우 정당 명부식 나미비아 정당 명부식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당 명부식 네덜란드 정당 명부식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정당 명부식 노르웨이 정당 명부식 누벨칼레도니 정당 명부식 뉴질랜드 혼합형 비례대표제 니카라과 정당 명부식 대한민국 정당 명부식 (병립식) 덴마크 정당 명부식 도미니카 공화국 정당 명부식 독일 혼합형 비례대표제 라이베리아 정당 명부식 라트비아 정당 명부식 러시아 (하원) 정당 명부식 레소토 혼합형 비례대표제 루마니아 정당 명부식 룩셈부르크 정당 명부식 리히텐슈타인 정당 명부식 멕시코 혼합형 비례대표제 몰도바 정당 명부식 몰타 선호 투표제 (단기 이양식 투표) 베네수엘라 혼합형 비.. 더보기 Q. 비례대표제는 언제부터 생겼지? ①19세기 후반 벨기에의 법학자, 빅토르 동트(Victor d'Hondt)가 고안! 이 당시 프랑스의 공상적 사회주의자였던 빅포르프로스페르 콩시데랑도 1892년 저서에서 이 제도를 언급했다고 합니다. ②1890년 스위스의 티치노 주에서 최초로 비례대표제가 채택! 이후 다른 주에서도 이 제도를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③국가 단위로는 벨기에에서 처음으로 1900년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가 채택되었고, 제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도 속속 시행하였습니다. ④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는 1857년 덴마크에서 처음 채택되어 최초로 실시되었다고 이야기되어 있지만 후에 덴마크에서 다시 이 투표가 보급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는 영국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재고안되었지만, 영국 의회에서 채.. 더보기 Q. 비례대표제란?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 proportional representation)는 국민의 의사를 가장 정확하게 의석에 반영하고자 생겨난 제도이다. 이 제도는 다수 대표제와 소수 대표제가 발생시키는 모든 문제를 보완한다. 다수 대표제의 경우에는, 제도 운영이 손쉽고 선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으나 각 선거구별로 사표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를 보완하고자 도입된 소수 대표제 또한 소수 의견을 보장하기 위해 인위적, 작위적 방법에 의존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것을 보완하고자 생겨난 제도가 바로 비례대표제로, 정당의 득표율과 의석률을 왜곡시키지 않고 최대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사표 발생을 최소화하고 소수파의 의석을 보장하며, 유권자 의사를 존중하는 여론의 복합성이 인정된다. 즉, 정당..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