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반은 여자! 그럼 우리 나라의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얼마나 될까요?
답은 고작 15.7%랍니다. 그만큼 많은 여성의 목소리가 대표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인 것 같은데요.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총선 때마다 제기되었던 문제인데요. 어제 새누리당에서는 여성 국회의원 비율을 30%정도로 의무화하자는 이야기를 내 놓았습니다. 그러나 의무화만이 능사일지,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하면 잘 풀어낼 수 있을까요?
그래서'-'
뉴질랜드 사례를 살펴 보았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뉴질랜드의 선거제도는 96년을 기점으로 다수제 선거제도에서 독일식 정당명부제(MMP)로 변화하였는데요. 이는 단지 선거제도의 변화 뿐 아니라, 다양한 정치 문화의 발전도 함께 가져왔답니다:D
독일식 정당명부제 전 백여년 간 여성 의원의 총합은 44명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해요. 1년에 약 평균 0.4명 뿐이었네요;( 그러나 96년에 새로운 제도를 도입한 후 15년, 여성 의원의 총 합은 80여명 이상이나 됩니다.
도입 전에 비해 13배나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_@!!
(지난 2011년에 치뤄진 제 50대 총선에서 선출된 여성 의원은 39명으로, 의회의 약 1/3 정도라고 하네요.)
다양한 사람과 정치세력들이 정치영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비례대표제의 장점이 여기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우리나라의 여성 의원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감이 오지 않나요?
'RULE: 보물창고 > 뉴질랜드 개혁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질랜드]독일식 정당명부제(MMP) 도입 당시 다양한 홍보자료들을 모아봤어요*__* (0) | 2012.10.26 |
---|---|
[뉴질랜드]비례대표제 도입 전후, 득표율과 의석 차이의 놀라운 변화@_@ (0) | 2012.10.26 |